피아제의 인지발달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란 인지구조와 경험의 상호작용(변형, 통합, 분화, 재통합)을 통해 인지구조를 발달시키는 것입니다. 인지발달의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반사와 환경으로부터 자극을 받아 도식을 형성합니다. 그리고 인지적 평형 상태에 있다가 새로운 자극을 받고 인지적 불평형 상태가 됩니다. 이때 인지적 기제인 동화와 조절를 활용하여 새로운 도식을 형성하고 다시 인지적 평형 상태가 됩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은 인지적 불평형을 일으키는 질문과 자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비고츠키가 비계설정을 강조한 것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인지의 구조적인 측면
인지구조적인 측면으로는 도식과 조작이 있습니다.
도식
도식이란 유기체가 외계의 사물을 인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해의 틀 또는 문제해결의 틀입니다. 도식의 유형으로는 감각운동 도식, 상징적 도식, 조작 도식이 있습니다. 감각운동 소식이란 어떤 것을 기억하고 반응할 때 사용하는 체계화된 행동 패턴입니다. 상징적 도식이란 경험한 것에 대해 정신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조작 도식이란 논리적인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 자신의 사고를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조작
조작이란 추상적 문제해결능력입니다. 조작의 조건으로는 가역성, 지적 표상, 보존개념이 있습니다. 조작적 사고는 감각운동 도식에서 상징적 사고, 추상적 사고 순으로 발달 하게 됩니다.
인지의 기능적인 측면
인지의 기능적인 측면으로는 조직화, 적응, 평형화, 인지적 불일치, 인지적 평형이 있습니다.
조직화
조직화는 현재 가지고 있는 도식을 새롭고 복잡한 도식으로 재구성 하는 과정입니다. 세계를 보다 효과적인 방식으로 이해해 환경의 요구에 부합하는 적응을 촉진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적응
적응은 환경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도식이 변화하는 과정입니다. 즉, 문제해결 과정입니다. 적응은 개인의 욕구 충족을 위해서 이루어지고 개인 또는 환경의 수정을 포함합니다. 적응의 종류로는 동화와 조절이 있습니다. 동화란 기존의 도식을 사용하여 새로운 자극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동화는 도식의 양적인 변화입니다. 조절이란 기존의 도식으로 새로운 자극을 이해할 수 없을 때 기존의 도식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조절은 도식의 질적 변화입니다.
평형화
평형화는 인지적 불일치 상태에서 동화와 조절을 통해 평형 상태로 돌아가려는 심리적 경향성입니다.
인지적 불일치
인지적 불일치는 인식 대상을 기존의 도식으로 이해할 수 없어 갈등이 나타나는 상태입니다. 자신이 알고 있는 것과 실제 현상 간에 차이가 있을 때 기존지식에 대해 갖게 되는 의문입니다. 적정 수준의 인지적 불일치는 내적동기의 활성화를 불러 일으키고 이는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인지적 평형
인지적 평형은 사고와 환경 간에 균형이 잡히고 조화로운 관계가 이루어진 상태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1) - 상호작용주의(구성주의)
'유아교육이론 > 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5) - 전조작기 1. 전개념적 사고기 (0) | 2022.09.19 |
---|---|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4) - 감각운동기 (0) | 2022.09.19 |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2) - 발달과 학습의 관계, 인지발달의 요인 (0) | 2022.09.18 |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1) - 상호작용주의(구성주의) (0) | 2022.09.17 |
반두라에 대해 알아보자(4) - 관찰학습의 전형, 관찰학습의 효과 (0) | 2022.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