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이론/발달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1) - 상호작용주의(구성주의)

by 오구님 2022. 9. 17.

피아제

피아제는 인지적 상호작용주의를 주장한 학자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피아제의 주요 이론인 인지적 상호작용주의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사회적 상호작용주의와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인지적 상호작용주의

상호작용주의와 구성주의는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상호작용주의는 발달론적 관점에서 바라볼 때 쓰는 용어이고 구성주의는 인식론적 관점에서 바라보았다는 부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상호작용주의는 인지적 발달, 심리적 발달은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이론입니다. 상호작용주의에서는 유아의 경험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구성주의는 인간의 지식은 외부로부터 학습되는 것이 아니라 인식 주체가 스스로 구성하는 것이라는 이론입니다. 구성주의에서는 교사의 일방적인 주입을 반대합니다. 왜냐하면 교사의 일방적인 주입이 유아가 스스로 개념을 구상할 기회를 제한한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구성주의에서는 구체적인 자료, 다양한 경험, 충분한 시간의 자유선택활동, 다양한 상호작용을 강조합니다. 이는 객관주의와 반대되는 부분으로 객관주의에서는 지식은 외부세계에 존재하며 학습은 이미 존재하는 지식을 전달받는 과정이라고 주장합니다.

상호작용주의(구성주의)의 종류

인지적 상호작용주의에서는 인지구조와 경험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주장합니다. 인지적 상호작용주의는 인지구조의 변화를 강조합니다. 사회적 상호작용주의는 사람들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주장합니다. 사회적 상호작용주의는 사회적 협력을 강조합니다. 사회적인 측면을 강조한다는 부분이 주관적 구성과 개별성을 강조하는 인지적 상호작용주의와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비고츠키에 대해 알아보자(1) - 사회적 상호작용주의, 인간발달의 유형, 아동발달의 측면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2) - 발달과 학습의 관계, 인지발달의 요인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3) - 인지발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