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보면 좋은 글
반두라에 대해 알아보자(1) - 사회학습이론, 상호결정론
반두라에 대해 알아보자(3) - 관찰학습의 과정, 강화의 종류
반두라에 대해 알아보자(4) - 관찰학습의 전형, 관찰학습의 효과
반두라의 자기 효능감
반두라의 교육 목표는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것입니다. 자기 효능감이란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 도전정신과 학습 성취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자기 효능감과 자기 인식의 차이점으로는 자기 효능감은 실제적인 능력이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근거로 하나 자기 인식은 막연한 자신감을 근거로 합니다.
기대의 유형
반두라는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해서 결과에 이르기까지 결과 기대와 효능 기대, 두 가지의 기대가 성립한다고 했습니다. 결과 기대란 어떤 행동은 어떤 결과를 이끌어낼 것이라는 개인의 일반적인 신념입니다. 예를 들어 슈팅을 강하게 하면 골이 들어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결과 기대입니다. 효능 기대란 자신이 특정한 수준의 실행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 것이며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개인적인 신념입니다. 예를 들어 나는 강한 슈팅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효능 기대입니다. 반두라는 효능 기대를 강조하였습니다.
자기 효능감의 중요성
모방학습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아동의 발달단계, 모델의 지명도와 능력, 대리 결과, 결과 기대, 목표 설정, 중요도, 관찰자의 동기 상태, 각성 수준, 선행 경험, 감각 능력 등이 있습니다. 자기 효능감 또한 매우 중요한 요인입니다. 자기 효능감이 높은 유아는 모델을 보고 스스로 배우며 과정에서 적극적인 수행을 보입니다. 따라서 모방 학습이 잘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는 자기 효능감을 높여야 합니다. 자기 효능감은 삶을 살아가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자기효능감은 좌절을 이겨내는 힘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칭찬과 격려, 적절한 난이도의 과제를 통해 자기 효능감을 높여야 합니다.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실제 수행, 대리 경험, 긍정적인 언어적 설득이 있습니다. 실제 수행이란 과제 수행에서의 성공 경험입니다. 이는 발달에 적합한 실제가 필요한 이유가 됩니다. 대리 경험이란 다른 사람이 과제에서 성공하는 경우입니다. 긍정적인 언어적 설득이란 활력을 불어넣는 격려입니다.
자기 효능감 발달 방법
자기 효능감을 발달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는 첫째, 환경에 대한 통제감이 있습니다. 환경을 스스로 탐색하고 통제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 주어야 합니다. 둘째, 또래에 대한 칭찬을 통한 대리 강화가 있습니다.
'유아교육이론 > 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두라에 대해 알아보자(4) - 관찰학습의 전형, 관찰학습의 효과 (0) | 2022.09.17 |
---|---|
반두라에 대해 알아보자(3) - 관찰학습의 과정, 강화의 종류 (0) | 2022.09.16 |
반두라에 대해 알아보자(1) - 사회학습이론, 상호결정론 (0) | 2022.09.16 |
스키너에 대해 알아보자(4) - 문제행동의 감소를 위한 기법 (0) | 2022.09.15 |
스키너에 대해 알아보자(3) - 바람직한 행동 증가 기법 (0) | 2022.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