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이론/발달

반두라에 대해 알아보자(3) - 관찰학습의 과정, 강화의 종류

by 오구님 2022. 9. 16.

함께 보면 좋은 글

반두라에 대해 알아보자(1) - 사회학습이론, 상호결정론

반두라에 대해 알아보자(2) - 자기 효능감

반두라에 대해 알아보자(4) - 관찰학습의 전형, 관찰학습의 효과

반두라의 관찰학습

반두라는 직접적인 행동과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행동 변화가 학습된다고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모방, 모델링, 관찰학습을 강조하였습니다.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강화 기대, 사회적 상황 그리고 인지능력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관찰학습의 과정

관찰학습의 과정은 학습 단계에 해당하는 주의집중 단계와 파지 단계, 수행 단계에 해당하는 운동재생 단계와 동기화 단계 총 4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주의집중이란 모델이 행동을 집중하여 관찰하는 단계입니다. 파지란 행동을 기억하고 머릿속으로 연습하는 단계입니다. 관찰한 행동을 상징화하고 이해하고 조직하는 것이며 시각적 과정과 언어적 부호를 통해 행동을 기억하고 내면화합니다. 행동이 변화하지 않아도 학습은 이루어진다고 본 점에서 다른 행동주의 이론들과 차이가 있습니다. 운동 재생이란 상징적으로 표상된 행위를 신체 동작으로 나타내는 단계입니다. 행동의 신체적인 수행 능력이 필요하고 연습과 피드백을 통해 익히고 수정하여 정확한 재생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동기화란 학습한 행동을 수행할지 말지를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강화 기대의 영향을 받아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것이라 기대되는 행동을 수행하고 부정적인 결과를 얻을 것이라 기대되는 행동은 수행하지 않습니다.

강화의 종류

반두라는 강화의 종류를 직접 강화, 대리 강화, 자기 강화 총 3가지로 구분했습니다. 직접 강화란 자기 행동의 결과로 선택하는 강화입니다. 대리 강화란 다른 사람이 강화받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자신도 같은 행동을 했을 때 강화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여 수행을 촉진시키는 것입니다. 자기 강화란 바람직한 행동에 대해 스스로 제공하는 강화입니다. 모델링은 직접 통화보다 대리 강화를 중시합니다 모델링을 과정에 중에 데리고 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모델링을 통해 획득한 행동이 직접 강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도 장기간 지속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