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이론/발달

스키너에 대해 알아보자(4) - 문제행동의 감소를 위한 기법

by 오구님 2022. 9. 15.

함께 보면 좋은 글

스키너에 대해 알아보자(1) - 조작적 조건화, 스키너의 상자 실험, 자극의 종류

스키너에 대해 알아보자(2) - 강화와 벌

스키너에 대해 알아보자(3) - 바람직한 행동 증가 기법

스키너의 행동 수정 기법

스키너는 조작적 조건화를 통해 행동을 수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행동 수정 방법 중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기법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행동 수정 방법 중 문제행동의 감소를 위한 기법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제 행동의 감소를 위한 기법

문제 행동에 감소를 위한 기법으로는 소거, 차별 강화, 포화, 홍수법, 과잉 교정, 유관 운동, 관리 박탈, 체계적 둔감법, 격리 그리고 이완 훈련이 있습니다.

소거(extinction)

소거란 문제행동이 발생했을 때 강화를 제공하지 않음으로써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기법입니다. 문제 상황을 해결하지는 못하므로 긍정적인 행동의 강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소거와 부정적 벌의 차이는 소거는 소거 후 다른 결과가 없으나 부정적 벌은 어떤 것이 제거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소거를 사용할 때 유의할 점으로는 첫째, 타인에게 피해를 줄 때는 무시하지 말아야 합니다. 둘째, 특정 행동 시 무시할 것이라는 것을 미리 알려 주어야 합니다. 셋째, 소거를 통해 문제행동이 해결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이전의 기억으로 인해 강한 반응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일관성 있게 실시해야 합니다. 혼잣말과 눈 맞춤 등을 주의해야 합니다.

차별 강화

차별 강화의 종류로는 저율 차별 강화, 무반응 차별 강화, 상반 행동 차별 강화, 대안행동 차별 강화가 있습니다. 저율 차별 강화란 행동이 드물게 일어날 때 강화를 제공하는 기법입니다. 무반응 차별 강화란 일정 기간 동안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하지 않으면 강화를 주는 기법입니다. 상반 행동 차별 강화란 문제행동과 상반되는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는 기법입니다. 이 경우 문제 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대안행동 차별 강화란 문제행동에 주어지던 강화물들이 더 바람직한 행동에 수반되도록 만들어주는 기법입니다.

포화(satiation)

포화란 문제행동의 강화 자극을 일시에 많이 제공하여 강화력을 상실하게 함으로써 문제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기법입니다.

홍수법(flooding)

홍수법이란 정서적 문제행동의 소거를 위해 조건 자극에 계속적으로 노출시키는 기법입니다.

과잉 교정

과잉 교정이란 문제행동 시 싫어하는 행동을 하도록 하는 기법입니다. 과잉 교정으로는 배상적 과잉 교정과 긍정적 과잉 교정이 있습니다. 배상적 과잉 교정이란 문제 행동을 하기 전의 환경보다 더 좋은 상태로 만들도록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방을 어지럽히는 경우 방을 원래보다 더 깨끗하게 청소하도록 합니다. 긍정적 과잉 교정이란 적절한 반응을 반복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철자법을 틀린 경우 정확한 철자를 반복해서 쓰도록 합니다.

유관 운동

유관 운동이란 문제행동과 유사한 행동을 지칠 때까지 하게 하는 기법입니다.

권리 박탈

권리 박탈이란 반응 대가라고도 부르며 권리를 미리 준 뒤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하면 미리 제공한 정적 강화물을 회수하는 기법입니다. 예시로는 과제를 제출하지 않았을 때 감점을 주는 것이 있습니다.

체계적 둔감법

체계적 둔감법이란 점진적으로 불안의 강도가 높은 상황을 제공하여 불안한 감정을 줄여나가는 것입니다.

격리(time out)

격리란 문제행동의 감소를 위해 일정 시간 동안 긍정적 보상을 받을 기회를 박탈하는 것입니다. 격리의 유형으로는 격리 타임아웃과 비격리 타임아웃이 있습니다. 격리 타임아웃이란 강화 자극이 있는 곳에서 강화물이 적거나 없는 곳으로 격리시키는 것입니다. 비격리 타임아웃이란 유아가 있는 곳을 강화가 약한 상태로 만들거나 철회시키는 것입니다. 격리는 다른 친구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공격적으로 행동하는 유아에게 효과적입니다. 격리의 단점으로는 집단 따돌림이 일어날 수 있고 소속감 박탈로 인한 부정적 자아개념이 생길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사용 시 습관화가 되어 효과가 없어질 수 있습니다. 경리를 사용할 때의 유의점으로는 첫째, 문제행동이 일어나는 즉시 자연스럽고 엄하게 적대감을 보이지 않으면서 담담하게 실행해야 합니다. 둘째, 타임아웃 전에 경고를 제공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셋째, 명확한 이유를 설명해야 합니다. 넷째, 시간과 행동 지침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합니다. 다섯째, 2분 에서 3분가량의 짧은 시간 동안 격리해야 합니다. 여섯째, 합의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시간이 지났다고 바로 들어가는 것이 아닌 바람직한 행동에 대해 알려주어야 합니다. 일곱째, 약속을 잘 이행한 경우 적절한 보상을 제공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문제행동 발생 시 일관성 있게 실시해야 합니다.

이완훈련

이완 훈련이란 긴장의 수준이나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는 기법입니다. 화장실에서 음악을 틀어 주는 것이 예시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