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제의 전조작기(2~7세)
저번 포스팅에서 다룬 감각 운동기의 다음 단계는 전조작기입니다. 전조작기는 2세에서 7세에 해당하는 단계로 2세에서 4세에 해당하는 전개념적 사고기와 4세에서 6세에 해당하는 직관적 사고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조작기 중 전개념적 사고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개념적 사고기(2~4세)
전개념적 사고기에는 지각의 항상성이 결여되어 있습니다. 대상의 모습이 변화하더라도 동일한 대상이라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지각의 항상성이란 대상이 다르게 지각되더라도 같은 대상이라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전개념적 사고기의 특징으로는 상징적 사고, 자기중심적 사고, 목적론, 물활론, 전인과성, 실재론이 있습니다.
상징적 사고
상징적 사고는 기호적 기능이라고도 이야기하며 상징은 어떤 다른 것을 나타내는 징표이자 또한 자신이 머릿속으로 표상하고 있는 것들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표상이 마음속으로 이미지를 생각하는 능력이라면 상징은 표현이 꼭 의미와 같지는 않습니다. 상징을 활용한 예시로는 흙으로 떡볶이를 먹는 척하는 것이 있습니다. 상징은 문제 해결 속도를 증가시키고 시행착오를 감소시키며 정신적으로 과거와 미래를 넘나들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상징적 사고가 발달하면 정신적 표상, 지연 모방, 상징 놀이 등이 가능합니다. 지연 모방이란 목격한 사건을 나중에 재현하는 것이고 상징 놀이란 가상적인 사물이나 상황을 실제 사물이나 상황으로 상징화하는 놀이입니다. 그림과 언어는 대표적인 상징입니다. 그림은 자신의 머릿속에 있는 심상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이고 언어는 자신의 내적 표상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자기중심적 사고
자기중심적 사고는 자아 중심성 이라고도 하며 타인의 생각을 고려하지 못하고 자신의 입장에서만 생각하는 것을 뜻합니다. 전조작기 유아의 언어 사용 특징으로는 자기중심적 언어와 집단적 독백이 있습니다. 자기중심적 언어란 다른 사람의 이해 여부를 고려하지 않은 채 자신의 말만 하는 것이고 집단적 독백이란 타인과의 대화에서 서로 자신이 하고 싶은 말만 하는 것입니다.
목적론
목적론이란 모든 존재는 만들어진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물활론
물활론이란 생명이 없는 대상들이 생명과 감정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것입니다. 물활론의 단계로는 처음에는 모든 것들이 생명과 감정을 가지고 있다고 믿다가 점차 움직이는 모든 것, 스스로 움직이는 것, 동식물로 그 범위가 줄어듭니다.
전인과성
전인과성은 인과관계에 대한 정확한 논리적 추론 능력이 결여되어 나타나는 인과적 사고입니다. 전인과성은 인공론과 전환적 추론으로도 나타납니다. 인공론이란 모든 존재는 사람의 필요로 인해 만들어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전환적 추론이란 서로 관련이 없는 두 개의 사건을 인과관계로 연결시키는 것입니다. 전환적 추론이 나타나는 이유는 자기 중심성, 중심화, 직관적 사고로 인해 추상적인 인과관계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실재론
실재론이란 정신적인 현상에 물리적인 속성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예시로는 꿈, 사고, 말 등의 정신적 현상이 물리적 실체를 가졌다고 믿는 것이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6) - 전조작기 2. 직관적 사고기
'유아교육이론 > 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7) - 구체적 조작기, 전조작기와의 비교 (0) | 2022.09.20 |
---|---|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6) - 전조작기 2. 직관적 사고기 (0) | 2022.09.20 |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4) - 감각운동기 (0) | 2022.09.19 |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3) - 인지발달 (0) | 2022.09.18 |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2) - 발달과 학습의 관계, 인지발달의 요인 (0) | 2022.09.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