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이론/발달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7) - 구체적 조작기, 전조작기와의 비교

by 오구님 2022. 9. 20.

피아제의 구체적 조작기

7세에서 11세에 해당하는 단계인 구체적 조작기는 구체물이 있어야 직접적 사고가 가능합니다. 이 시기에는 구체적인 사태에 한하여 논리 적적 조작이나 규칙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구체적 조작기는 인지적 조작과 탈중심화가 일어납니다. 인지적 조작은 심상이나 상징을 변경하고 재조직하여 논리적 결론을 내는 정신적 활동이며 탈중심화는 여러 변이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고 타인과 자신의 생각과 관점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조작, 분류, 보존, 서열화를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 조작기의 특징

구체적 조작기의 특징으로는 가역성, 보존 개념, 분류, 서열화, 조망수용능력 등이 있습니다.

가역성

가역성이란 구체적인 대상에 대해 역으로 상상할 수 있는 특성입니다.

보존 개념

보존 개념이란 외형의 변화가 있어도 빼거나 더하지 않으면 양에 변화가 없다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6~7세의 경우 길이, 크기, 양, 수에 대한 보존 개념이 생기고 8~9세에는 무게에 대한 보존 개념이 생기며 11~12세에는 넓이, 부피에 대한 보존 개념이 생깁니다. 보존 개념 획득에 있어서는 수평적 격차가 있습니다. 수평적 격차란 유사한 능력들이 특정 발달 단계 내에서 동시에 나타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분류

구체적 조작기에는 한 가지 속성으로 분류하는 단순 유목화와 두 가지 이상의 속성으로 분류하는 다중 유목화를 할 수 있고 유목 포함 개념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서열화

서열화는 여러 특성의 양적 차원에 따라 정신적으로 계열화하는 능력입니다. 구체적 조작기에는 이행성의 원리를 어느 정도 이해합니다. 또한 한 가지 속성에 따라 대상을 비교하면서 순서대로 배열하는 단순 서열화와 두 가지 이상의 속성에 따라 대상을 비교해서 순서대로 배열하는 다중 서열화가 어느 정도 가능합니다. 이 또한 길이, 무게, 부피 순으로 가능해집니다.

조망수용 능력

조망수용 능력이란 타인의 입장, 감정, 인지 등을 이해하고 추론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구체적 조작기에는 인지적 조망 능력도 획득합니다. 이는 타인의 사고 과정이나 행동의 원인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자기중심성 자신의 감정과 타인의 감정을 구분함
보존성을 이해하지 못함 보존성을 이해함
비가역성 가역성이 발달함
변화과정을 추론하는 것을 어려워함, 벌레가 나비가 되는 경우 벌레는 죽고 나비로 대체되었다고 생각함 변화과정을 추론할 수 있음, 벌레가 나비가 되는 경우 벌레가 나비로 변화했다는 것을 이해함
유목포함 개념을 이해하지 못함, 지각적 분류 유목포함 개념을 이해함, 논리적 분류
전환적 추론, 변환적 추론 관계적 추론, 이행성의 논리

함께 보면 좋은 글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4) - 감각운동기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5) - 전조작기 1. 전개념적 사고기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6) - 전조작기 2. 직관적 사고기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8) - 형식적 조작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