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작적 사고의 발달단계
조작적 사고의 발달단계로는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중에서 감각운동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각운동기
감각운동기에는 물리적 조작에 의한 신체적 문제 해결이 나타납니다. 지각을 통해 환경을 탐색하고 개념 형성의 기초를 형성합니다. 감각운동기에는 감각운동 도식과 대상 영속성이 발달합니다. 대상 영속성이란 사물이 안 보여도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자신이 주변 세계와 분리된 독립적인 존재라는 사고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상징적 사고의 발달을 의미합니다. 감각운동기는 반사 운동기, 1차 순환 반응, 2차 순환 반응, 2차 순환 반응의 협응, 3차 순환 반응, 정신적 표상 단계로 나누어집니다.
반사 운동기(0~1개월)
반사 운동기에는 자신과 외부 세계를 구분하지 못합니다. 반사 운동기에는 반사 능력을 통해 외부 세계를 이해하고 적용합니다. 반사는 인지 발달을 위한 초석이 됩니다. 이 시기에는 대상이 사라지면 다른 행동을 하고 시야에서 사라진 대상이 세상에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1차 순환 반응(1~4개월)
1차 순환 반응기에는 우연한 행동이 재미있는 결과를 초래하면 그 행동을 반복합니다. 몸을 이용한 반복행동으로 기준 도식을 수정하기도 합니다. 이 시기에는 도식 간 협응이 시작됩니다. 1차 순환 반응기에는 대상이 사라져도 그 자리를 응시하는 수동적인 기대를 할 수 있습니다.
2차 순환 반응(4~8개월)
2차 순환 반응기는 영아의 관심이 신체 외부로 옮겨집니다. 그래서 몸이 아닌 도구를 이용한 반복 행동을 하기 시작합니다. 2차 순환 반응기에는 의도성이 출현합니다. 우연히 일어난 결과를 다시 유발하기 위하여 의도적 행동을 시작합니다. 이 시기에는 대상의 일부가 보이면 찾을 수 있으나 대상이 보이지 않으면 찾으려 하지 않습니다. 2차 순환 반응기에는 대상과의 시각적 접촉, 지각적 접촉에 의존합니다.
2차 순환 반응의 협응(8~12개월)
2차 순환 반응의 협응기에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가지 행동을 협응합니다. 이 시기에는 인과 개념을 이해합니다. 목표가 되는 하나의 도식에 도달하기 위하여 수단이 되는 다른 도식을 이용합니다. 또한 대상 영속성 개념을 획득하기 시작합니다. 어떤 물체가 눈앞에서 사라진다고 해도 그 물체가 없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고 물체가 안 보여도 찾으려고 합니다. 이 시기에 나타나는 특징으로는 AB오류가 있습니다 A에서 유아가 지켜보는 가운데 B로 위치를 바꾸어도 여전히 A에서 대상을 찾는 것입니다. 장소와 감각 운동적 행동을 결합하는 일종의 습관을 형성하고 자신의 행위와 대상물의 완전히 분화시키지는 못합니다.
3차 순환 반응(12~18개월)
3차 순환 반응기에는 실험적 사고에 열중합니다. 새로운 원인과 결과 간의 관계에 대해 가설화를 합니다. 또한 시행착오를 통해 학습합니다. 새로운 대상을 탐색하고 정해진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새로운 수단을 발견합니다. 이 시기에는 AB오류에서 벗어납니다. 대상을 어디에 숨기든 가장 최근에 사라진 곳에서 찾습니다. 그러나 물체를 볼 수 없는 공간으로 이동하면 정확하게 추적하는 능력은 없습니다.
정신적 표상(18~24개월)
정신적 표상기에는 지연 모방이 나타납니다. 지연 모방이란 목격한 행동을 나중에 재현하는 것으로 이는 내적 표상이 발달했다는 증거입니다. 표상이란 마음속으로 이미지를 그려내는 능력입니다. 정신적 표상기에는 결과에 대해 미리 사고하여 시행착오 없이 문제를 해결하고 대상 영속성이 발달하여 완전히 가려진 후에 이동이 이루어져도 대상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5) - 전조작기 1. 전개념적 사고기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6) - 전조작기 2. 직관적 사고기
'유아교육이론 > 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6) - 전조작기 2. 직관적 사고기 (0) | 2022.09.20 |
---|---|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5) - 전조작기 1. 전개념적 사고기 (0) | 2022.09.19 |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3) - 인지발달 (0) | 2022.09.18 |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2) - 발달과 학습의 관계, 인지발달의 요인 (0) | 2022.09.18 |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1) - 상호작용주의(구성주의) (0) | 2022.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