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이론/발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4) - 불안

by 오구님 2022. 9. 6.

함께 보면 좋은 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1) - 정신의 구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2) - 충동, 인성의 구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3) - 유아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정화효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5) - 높은 적응 수준의 방어기제, 정신적 억제 수준의 방어기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6) - 가벼운 이미지 왜곡수준의 방어기제, 부인하는 수준의 방어기제, 주요 이미지 왜곡 수준의 방어기제, 행동 수준의 방어기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7) - 그 외의 방어기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8) - 발달단계

불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서는 불안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불안은 원초아와 초자아가 갈등이 생겼을 때 발생합니다 평소에는 자아를 통해 불안을 다루지만 자아가 다루기에 너무 큰 경우 투사, 전이 등 다양한 방어기제를 사용합니다. 불안에는 신경증적 불안, 현실적 불안, 도덕적 불안 총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신경증적 불안

신경증적 불안은 원초아와 자아 간 갈등에서 비롯 됩니다. 원초아가 충족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원초아가 이끄는 대로 충동적으로 행동하면 처벌받지 않을까 하는 무의식 속 두려움입니다. 예로는 혼나고 있을 때 선생님께 화내고 싶은데 선생님께 화내면 혼나지 않을까 불안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현실적 불안

현실적 불안은 외부세계의 위험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태풍에 의한 피해가 크지 않을까, 오늘 산 주식이 내일 떨어지지 않을까 불안해한다면 그것은 현실적 불안입니다.

도덕적 불안

도덕적 불안은 도덕적 처벌에 대한 불안함으로 발생합니다. 이는 원초아와 초자아 간 갈등에서 비롯됩니다. 초자아를 따라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원초아를 따르고 싶은 마음에서 오는 일종의 양심의 가책이나 죄의식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떨어진 돈을 발견했을 때 줍고 싶어하는 원초아와 주인을 찾아주어야 한다는 초자아 사이에서 고민하며 생기는 불안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