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보면 좋은 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2) - 충동, 인성의 구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3) - 유아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정화효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5) - 높은 적응 수준의 방어기제, 정신적 억제 수준의 방어기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6) - 가벼운 이미지 왜곡수준의 방어기제, 부인하는 수준의 방어기제, 주요 이미지 왜곡 수준의 방어기제, 행동 수준의 방어기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7) - 그 외의 방어기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8) - 발달단계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이론, 심리성적이론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이는 성적 욕구를 충족하는 방식에 따른 인성의 발달을 연구한 이론입니다. 프로이트는 인간을 태어나면서 죽기 전까지 본능적인 욕구와 사회적인 기준 사이에서 갈등하는 존재로 보았습니다. 그래서 정서행동의 원인으로 내적 갈등을 강조하였습니다.
정신의 구조(지정학적 모델)
의식
개인이 의식하고 있는 정신작용의 층을 의미합니다. 어떤 순간에 지각되는 모든 경험과 감각들로 구성되며, 정신생활의 극히 작은 부분만을 포함합니다. 외부 세계(지각, 운동 활동, 감정) 뿐 아니라 내적 세계(꿈, 사고)와 접촉합니다. 의식은 사고와 아이디어를 수용하거나 배제함으로써 잠재의식을 억압하기도 합니다.
전의식
기억, 회상, 사고를 통해 의식할 수 있는 이용 가능한 기억입니다. 계속 의식하고 살지는 않으나 필요한 경우 의식될 수 있는 정보와 경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전의식으로 인해 갑작스러운 통찰, 창의적 사고, 깨달음이 생기기도 합니다.
무의식
기억할 수 없는 부분이지만 인간의 행동을 결정합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말과 행동은 무의식의 산물이라고 보았습니다. 무의식은 욕구의 근원이며, 충격적인 경험이나 용납할 수 없는 충동 등은 억압에 의해 무의식에 갇혀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지속적으로 심리적인 에너지를 소모하기 때문에 영원히 가둘 수 없습니다. 따라서 무의식은 꿈 등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유아교육이론 > 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3) - 유아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정화효과 (0) | 2022.09.06 |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2) - 충동, 인성의 구조 (0) | 2022.09.06 |
발달과업이란 무엇일까요 (0) | 2022.09.05 |
발달의 성격은 다양해요 (0) | 2022.09.05 |
발달이론은 왜 중요할까요 중요성을 알아보자 (0) | 2022.09.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