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이론/발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5) - 높은 적응 수준의 방어기제, 정신적 억제 수준의 방어기제

by 오구님 2022. 9. 7.

함께 보면 좋은 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1) - 정신의 구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2) - 충동, 인성의 구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3) - 유아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정화효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4) - 불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6) - 가벼운 이미지 왜곡수준의 방어기제, 부인하는 수준의 방어기제, 주요 이미지 왜곡 수준의 방어기제, 행동 수준의 방어기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7) - 그 외의 방어기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 대해 알아보자(8) - 발달단계

방어기제란 무엇일까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서는 방어기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방어기제란 자아가 원초아와 초자아의 불안을 합리적으로 해결하지 못할 때 무의식적으로 비현실적인 방법을 통해 불안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자아를 안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지나친 심리기제 사용으로 인해 자아가 발달하지 못할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건강한 자아 발달을 위한 방법으로는 도덕적 기준 완화와 정화 기법이 있습니다.

방어기제 유형

방어기제는 높은 적응 수준의 방어기제, 정신적 억제 수준의 방어기제, 가벼운 이미지 왜곡 수준의 방어기제, 부인하는 수준의 방어기제, 주요 이미지 왜곡 수준의 방어기제, 행동 수준의 방어기제 그리고 그 외 방어기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높은 적응 수준의 방어기제

높은 적응 수준의 방어기제는 욕구 간 균형 상태를 유지하고 만족을 극대화시킵니다. 방어기제 사용 결과에 대해 의식적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높은 적응 수준의 방어기제 종류로는 이타주의, 유머, 자기주장, 승화, 억제가 있습니다.

  • 이타주의는 타인의 욕구에 맞게 헌신함으로써 감정적 갈등과 대외적인 스트레스를 처리하는 방어기제입니다. 자기희생과는 달리 타인의 만족을 보며 진심으로 만족합니다.
  • 유머는 갈등이나 스트레스 요인의 유쾌한 측면이나 역설적인 측면을 강조하며 스트레스를 처리하는 방어기제입니다.
  • 자기주장은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직접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는 방어기제입니다.
  • 승화는 수용될 수 없는 충동을 사회적으로 용인 가능한 형태로 변화시키는 방어기제입니다. 예시로는 다른 사람에 대한 공격성을 권투로 해소하는 것이 있습니다.
  • 억제는 자신을 괴롭히는 문제나 감정 등을 의식적으로 생각하지 않는 방어기제입니다. 억압은 무의식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정신적 억제 수준의 방어기제

정신적 억제 수준의 방어기제는 잠재적으로 위험을 줄 가능성이 있는 생각, 감정, 기억 등을 의식하지 못하게 하는 방어기제입니다. 정신적 억제 수준의 방어기제 종류로는 전위, 전이, 주지화, 고립, 반동형성, 억압, 복구가 있습니다.

  • 전위는 환치, 전치라고도 합니다. 전위는 욕구 해소의 대상을 바꾸는 방어기제입니다. 어떤 대상에게 원초아의 충동을 표현하기 부적절할 때 그 충동을 다른 대상에게 표현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빠에게 꾸중을 들었을 때 아빠에게 활용하지 못하고 동생에게 화를 내는 것은 전위를 사용한 상황입니다.
  • 전이는 어떤 대상에게 느꼈던 감정을 다른 대상에게도 표현하는 방어기제 입니다. 예를 들어 아빠에게 꾸중을 들었을 때 아빠에게 화를 내고 동생에게도 화를 내는 것은 전이를 사용한 상황입니다.
  • 주지화는 위협적인 감정을 피하기 위해 위협 조건에 대해 지적 분석을 하는 방어기제 입니다. 지나치게 추상적으로 사고하거나 일반화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 고립은 감정과 연합되어 있던 생각을 분리하는 방어기제 입니다 즉, 감정을 분리하는 것입니다. 경험에 대한 느낌은 잊어버리고 인지적 요소만 의식하게 됩니다.
  • 반동 형성은 자신이 느끼고 바라는 것과 정반대로 감정을 표현하고 행동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정수는 수빈이를 좋아하면서 미워한다고 말하는 건 반동 형성을 사용한 상황입니다.
  • 억압은 스트레스나 불안을 일으키는 생각이나 충동을 의식 하지 않으려는 무의식적인 노력입니다. 예를 들어 병원에서의 고통스러운 경험을 기억해 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복구는 용납될 수 없는 생각, 감정, 행동을 무효화하기 위해 하는 말이나 행동입니다. 예를 들어 바람피우고 선물을 주는 것은 복구를 사용한 상황입니다.

방어기제는 내용이 많아 총 3번에 걸쳐 다루어집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가벼운 이미지 왜곡 수준의 방어기제, 부인하는 수준의 방어기제, 주요 이미지 왜곡 수준의 방어기제, 행동 수준의 방어기제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