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보면 좋은 글
게젤에 대해 알아보자(4) - 교사의 역할, 시사점, 한계점
게젤의 성숙주의 교육방법
성숙주의를 대표하는 학자인 게젤은 교육방법으로 성숙의 원리, 준비도, 결정적 시기를 강조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준비도 개념과 결정적 시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준비도
준비도란 발달이 나타나려면 내적 발달이 먼저 준비되어야 한다는 개념입니다. 유아에게 무언가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유아가 성숙할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이러한 준비도 개념은 적기교육을 강조하는 근거가 되었습니다 반대로 행동주의에서는 조기교육을 강조하였습니다. 왜냐하면 환경적 자극을 통해 반응을 일으켜 발달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성숙주의에서는 준비가 되면 과제를 주어야 한다고 보았고 행동주의에서는 는 발달을 위한 준비를 시켜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성숙주의에서 강조하는 교사의 역할은 관찰하며 자료와 활동을 준비하고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역할입니다. 또한 발달의 경향과 순서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갖추어야 합니다. 성숙주의에서는 학습준비도가 비슷한 유아들끼리 집단을 구성해야 한다고 봅니다. 혼합연령이라도 같은 수준을 가지고 있으면 가능합니다.
결정적 시기
결정적 시기란 어느 특정한 발달이 특별히 일정한 시기에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뜻합니다. 내적으로 준비 된 상태에서 가장 효과적인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보는 것입니다. 성숙주의에서 강조하는 교사의 역할은 유아를 관찰하고 유아의 현재 발달상태에 적합한 환경을 준비하고 제공해 주는 것입니다. 게젤은 환경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인정했습니다. 결정적 시기와 민감기의 차이는 가소성의 인정 여부입니다. 결정적 시기는 가소성을 인정하지 않았으나 민감기는 가소성을 인정하는 부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유아교육이론 > 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주의에 대해 알아보자 - 인간관, 발달관, 학습방법, 교사의 역할 (0) | 2022.09.12 |
---|---|
게젤에 대해 알아보자(4) - 교사의 역할, 시사점, 한계점 (0) | 2022.09.12 |
게젤에 대해 알아보자(2) - 성숙의 원리 (0) | 2022.09.11 |
게젤에 대해 알아보자(1) - 인간관, 발달관 (0) | 2022.09.11 |
성숙주의에 대해 알아보자(2) - 조기교육 (0) | 2022.09.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