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젤의 성숙주의
게젤의 성숙주의를 공부하며 우리는 성숙주의에서 강조하는 교사의 역할, 성숙주의에서 시사하는 시사점, 성숙주의의 한계점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교사의 역할
성숙주의에서 강조하는 교사의 역할은 관찰자입니다. 교사는 직관적인 민감성을 가지고 유아의 신호와 단서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합니다. 교사는 발달의 경향과 순서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갖추어야 합니다. 유아의 발달은 안정과 불안정 시기를 넘나들기 때문에 이론적 지식을 갖추지 않으면 이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교사는 적절한 환경을 구성해주어야 합니다. 적절한 환경이란 허용적이고 편안한 환경, 그리고 유아의 흥미와 준비도에 맞는 교재 및 교구들이 있는 환경입니다.
시사점
게젤은 표준행동목록을 만들었습니다. 표준행동목록이란 연령에 따른 보편적인 발달 특성을 상세히 제시한 행동목록입니다. 이는 세계 최초로 영상 촬영 기술을 활용하여 유아의 발달을 관찰해 만든 행동목록이지만 너무 획일적이고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비판점도 있습니다. 또한 게젤은 유아의 발달을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지수인 발달지수라는 개념을 만들었습니다.
한계점
게젤의 성숙이론은 유아의 발달을 공부할 때 매우 중요한 이론이지만 명확한 한계점 또한 존재합니다. 게젤의 성숙 이론은 유아가 환경과의 능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한다는 것을 설명하지 못하고 발달이 어떻게, 왜 진행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합니다.
'유아교육이론 > 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블로프에 대해 알아보자(1) - 고전적 조건화의 과정 (0) | 2022.09.13 |
---|---|
행동주의에 대해 알아보자 - 인간관, 발달관, 학습방법, 교사의 역할 (0) | 2022.09.12 |
게젤에 대해 알아보자(3) - 준비도, 결정적 시기 (0) | 2022.09.12 |
게젤에 대해 알아보자(2) - 성숙의 원리 (0) | 2022.09.11 |
게젤에 대해 알아보자(1) - 인간관, 발달관 (0) | 2022.09.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