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지발달3

비고츠키에 대해 알아보자(2) - 교육과 발달의 관계, 인간 정신활동의 구성 교육과 발달의 관계 비고츠키는 교육은 발달을 주도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다른 사람과 함께 하면서 스스로 할 수 있게 되는 부분을 중요시하였고 사회적 상호작용은 인지발달의 토대가 된다고 보았습니다. 인간 정신활동의 구성 비고츠키는 인지란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공유되는 것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따라서 인지발달이란 성인과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중재된 기호들이 내면화되는 과정이며 인지발달에 있어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구속 능력이란 지식 습득이나 문제 해결 과정을 촉진시키거나 제한시키는 상황입니다. 인지적 내적 구성 능력이란 지식을 받아들이는 것이고 문화적 외적 구성 능력이란 사회에 맞게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피아제 vs 비고츠키 피아제는 인지 .. 2022. 9. 23.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3) - 인지발달 피아제의 인지발달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란 인지구조와 경험의 상호작용(변형, 통합, 분화, 재통합)을 통해 인지구조를 발달시키는 것입니다. 인지발달의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반사와 환경으로부터 자극을 받아 도식을 형성합니다. 그리고 인지적 평형 상태에 있다가 새로운 자극을 받고 인지적 불평형 상태가 됩니다. 이때 인지적 기제인 동화와 조절를 활용하여 새로운 도식을 형성하고 다시 인지적 평형 상태가 됩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은 인지적 불평형을 일으키는 질문과 자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비고츠키가 비계설정을 강조한 것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인지의 구조적인 측면 인지구조적인 측면으로는 도식과 조작이 있습니다. 도식 도식이란 유기체가 외계의 사물을 인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해의 틀 또는.. 2022. 9. 18.
피아제에 대해 알아보자(2) - 발달과 학습의 관계, 인지발달의 요인 피아제 피아제는 아동을 지식의 능동적 구성자로 보았습니다. 특히 지식의 주관적 구성과 지식의 개별성을 강조하였습니다. 비고츠키와는 아동을 지식의 농동적 구성자로 보았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비고츠키는 사회적 협력을 강조하였다는 부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양한 발달이론들이 주장한 발달과 학습의 관계와 피아제가 이야기한 인지발달의 요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발달과 학습의 관계 성숙주의와 인지적 구성주의는 발달이 학습에 선행된다고 봅니다. 따라서 발달단계에 맞는 학습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행동주의는 발달과 학습은 동시에 일어난다고 봅니다. 사회적 구성주의는 학습이 발달에 선행된다고 봅니다. 따라서 적절한 지원을 통해 발달을 이끌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인지발달의 요인 인지 발달의 요.. 2022. 9. 18.